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 구조방정식 모형의 특징 ◆ 구조방정식 모형: 실험연구가 어렵거나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추론을 용이하게 해주는 다변량 분석기법 ◆ 회귀분석이 각각의 사례가 갖는 실제 관찰값과 회귀방정식에 의해 예측되는 값의 차이를 최대로 작게 하는 하나의 직선을 찾는 분석방법이라면 구조방정식은 각각의 사례로 부터 구해진 표본공분산행렬과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모집단 공분산행렬간의 차이를 최대로 작게 하는데 초점을 맞춘 분석방법임 ◆ 구조방정식모형의 장점 1. 여러개의 측정변수(measured variable)를 이용해 추출한 공통변량을 변수(잠재변수)로 사용하므로 그 변수의 측정오차(measurment error)를 통제할 수 있다. 즉,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서 추정한 값은 측정오차를 고려할 수 있기에 단지 측정.. 2023. 9. 2. 양적 연구의 주요 단계 1 제1기: 개념시기 제1단계: 문제 진술 및 범위 설정 1) 실질적인 문제(어떤 종류의 근거가 필요한가) 2) 이론적 문제(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문맥이 있는가?) 3) 임상적 문제(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근거가 임상실무에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4) 방법론적 문제(최상의 근거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문제가 어떻게 연구되어야 하는가) 5) 윤리적 문제(이 연구질문이 연구 윤리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엄격하게 다루어질수 있는가?) 제 2단계: 관련문헌 고찰 1) 일반적으로 선행된 지식의 맥락 내에서 수행 2) 철저한 문헌고찰은 보통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수행되며 새로운 근거를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이 됨 3) 임상문제를 위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절차의 현 상황에 대해 알아내고 현존하는 실무 가.. 2023. 8. 25. 타당성 검증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 중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은 Amos 에서 모든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조사자가 직접 계산해야 하는 부분(AVE, 개념신뢰도)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1. 집중타당성 검증 방법 3가지 요인부하량과 유의성 요인 부하량: .5~.95(.7 이상이면 바람직) 유의성: C.R. = 1.965 이상 AVE(평균분산추출) .5 이상 개념신뢰도 .7 이상 1) 요인부하량과 유의성 ① 집중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 ② 일반적으로 요인부하량에 대한 유의성(C.R)은 높지만 표준화된 요인부하량 값이 .5이하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의해야 함 2) AVE(평균분산추출): 표준화된 요인부하량의 제곱한 값들의 합을 표준화된 요인부하량의 제곱의 합과 오차분산의 합으로 나눈 값임 .. 2023. 8. 25.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성 1. 확인적 요인분석은 관측변수와 잠재변수간 요인부하량을 측정할 수 있고 모델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평가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됨 1-1. 구성개념 타당성 구성개념과 그것을 측정하는 변수 사이의 일치성(agreement)에 관한것으로 구성개념이 관측변수에 의해서 얼마나 잘 측정 되었는지를 나타냄.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법칙타당성(nomological validity) 등으로 분류 타당성의 분류 의미 검증방법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잠재변수를 측정하는 관측변수들의 일치성 정도 요인부하량이 높을 수록 집중타당성이 있음 판별타당성(.. 2023. 8. 25.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