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건강과 정신질환
▪ 정신건강(mental health):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며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고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공동체 이익에 기여할 수 있을때 정신적으로 건강한 것으로 정의
▪ 정신질환(mental illness):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모든 정신장애를 의미. 정신기능의 발달, 생물학적 또는 심리학적 또는 심리장애와 관련된 심각한 장애를 초래함
2. 정신건강 연속선
▪ 연속선의 한쪽 끝은 정신건강:
- 이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은 안녕상태를 유지하며 충분히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 일상적인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와 고통을 경험할 수 있지만 일상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음
▪ 연속선의 반대쪽 끝에는 정신질환:
- 이 범주에 있는 사람들은 감정적인 문제나 걱정이 있으며 경증 및 중증도의 정신적 고통을 겪을 수 있음.
- 불면증이나 집중력 저하, 식욕감퇴와 같은 기능장애가 느껴 질 수 있음
- 우울장애, 범불안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이 범주에 속할 수 있음
-> 우리 모두는 정신건강-정신질환 연속선 어느 한곳에 속하며 현재 정신겅강 범주에 속해 있는 사람도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불안 등으로 인해 정신질환단계를 경험 할 수도 있고 심각한 기능장애로 이어지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음. 반대로 정신질환 범주에 속해 있는 사람도 회복을 경험할 수 있음
3. 위험 및 보호요인
1) 개인의 특성 및 행동
- 개인의 특성은 우리를 현재의 우리로 만드는 선천적 특성과 후천적 특성을 말함.
- 생물학 및 유전 요인도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사회 경제적 상황
- 가족은 자신감과 대처 기술을 촉진하거나 불안과 부적절감을 심어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사회환경은 성장함에 따라 학교와 또래 집단으로 확장
- 사회 경제적 지위는 정신건강을 지원하고 음식, 의복, 주거지와 같은 기본 필요에 대한 우려를 줄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종류임
3) 환경요인
- 정치적 분위기및 문화적 고려사항과 관련이 있음
- 보편적 문화적 신념, 태도 및 관행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침
4)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 낙인(stigma): 전반적으로 사람이 결함이 있다고 믿는 것으로 사회기피, 불명예, 수치심으로 특징지어짐
- 소인-스트레스 모형(diathesis-stress model): 소인은 생물학적 취약성을 나타내고 스트레스는 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 외상을 나타냄. 타고난것과 양육된 것에 대한 조합은 대부분의 정신질환이 유전적 취약성과 부정적인 환경스트레스 요인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함
출처: 권영란 외/정신건강간호학 Varcarolis' Foundations of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제9판/ 현문사 2023
'정신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 관련 이론과 치료-①정신분석이론 (0) | 2023.1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