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성
1. 확인적 요인분석은 관측변수와 잠재변수간 요인부하량을 측정할 수 있고 모델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평가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됨
1-1. 구성개념 타당성
구성개념과 그것을 측정하는 변수 사이의 일치성(agreement)에 관한것으로 구성개념이 관측변수에 의해서 얼마나 잘 측정 되었는지를 나타냄.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법칙타당성(nomological validity) 등으로 분류
타당성의 분류 | 의미 | 검증방법 |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 | 잠재변수를 측정하는 관측변수들의 일치성 정도 | 요인부하량이 높을 수록 집중타당성이 있음 |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 서로 독립된 잠재변수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 | 잠재변수 간 상관이 낮을 수록 판별타당성이 있음 |
법칙타당성(nomological validity) |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나의 구성개념이 다른 구성개념을 정확히 예측하는 정도 | 잠재변수 간 상관의 방향성과 유의성으로 확인함 |
1) 집중타당성
① 수렴타당성이라고도 하며 잠재변수를 측정하는 관측변수들의 일치성 정도를 나타냄
② 측정항목들이 구성개념을 일관성있게 잘 측정했다면 항목들간에 높은 상관이 있을 것이고 집중타당성이 있다고 말함
ex) 관측변수인 디자인, 각종기능, 승차감이 잠재변수인 자동차 이미지를 잘 측정했다면 관측변수간의 상관이 높다. 즉, 잠재변수에서 관측변수로 가는 요인부하량이 좋은값(.5) 이상의 값을 보임
2) 판별타당성
① 서로 다른 잠재변수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
② 잠재변수간 낮은 상관을 보인다면 판별타당성이 있는것이고 높은 상관을 보이면 두 구성개념간의 차별성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잠재변수간 판별타당성이 없는것임
③ 이들 잠재변수가 통계적으로 서로 독립된 형태의 구성개념이 아닌 동일한 구성개념임을 의미함
3) 법칙타당성
①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나의 구성개념이 다른 구성개념을 어느정도 예측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나타냄
② 조사자가 선행연구나 논리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두 구성개념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예측했는데 실제로 잠재변수 간 관계가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면 법칙타당성이 있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