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적 요인 분석
1. 요인분석
1-1.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① SPSS나 SAS프로그램 등에 의해 분석되는 기법,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이나 논리적 근거대신 데이터 베이스가 보여주는 결과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므로 '이론 생성 과정(theory generating procedure)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음
② 변수들 간의 구조를 조사하고 통계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변수의 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
③ 변수와 요인의 관계가 이론상으로 체계화되지 않거나 논리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됨
④ 조사자가 데이터를 분석하기 전까지는 요인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며 요인의 수에 대해서도 알 수 없고 요인이 어떤 항목으로 묶일지도 예측할 수 없음
⑤ 새로운 구성개념의 척도 개발 처럼 가설을 세우기에 충분한 증거들이 없을때 주로 사용됨
1-2. 탐색적 요인분석의 문제점
① 논리적이거나 이론적 배경이 없는 상태에서 결과에 의해서만 요인을 추출하기 때문에 데이터 지향적인 성격을 가짐
② 요인들이 제가가 묶이거나 연관성 없는 항목들이 묶여 요인에대한 해석이 어색하거나 복잡해 질 수 있음
③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제시하는 요인의 수나 회전법, 분석법 등의 적합한 사용 여부
- 요인분석 방법: 주성분분석과 공통요인분석
- 요인회전 방법: 직각요인회전, 사각요인회전
=> 이러한 분석법들이 실제로 데이터에 정확하게 적용되어 적합한 요인을 찾아냈느냐에 대한 문제에 해당
2-1. 확인적 요인분석
①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 관계 및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임
② 분석전에 요인(잠재변수)의 수와 요인(잠재변수)과 그에 따른 항목(관측변수)들이 이미 지정된 상태에서 분석된다는 것임.
③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이나 논리적 근거를 중요시 하기 때문에 이론 검증 과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음
④ 집중타당성이나 판별타당성 같은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에 이용되며 모델의 평가가 다른 모델의 적합도(GFI, AGFI, CFI, RMR)등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함.
2-2. 확인적 요인분석의 단점
①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 등이 세워진 상태에서만 분석이 되기 때문에 탐색적 요인 분석에 비해 보수적임
② 모델적합도 등이 좋지 않을 경우에 모델을 수정하게되는데 이때 모델적합도를 높여 수정한 모델이 처음 의도했던 모델과 달라질 수 있음
탐색적 요인분석 | 확인적 요인분석 | |
사용프로그램 | SPSS | Amos |
영문약자 |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분석방법 | 탐색적, 경험적 방법 | 확인적, 검증적 방법 |
이론과정 | 이론 생성 과정(theory generating procedure) | 이론 검증 과정(theory testing procedure) |
선행연구 여부 | 선행연구나 이론적 배경이 없는 경우 | 선행연구나 이론적 배경이 충분한 경우 |
지향성 | 데이터 지향적(data driven) | 이론 지향적(theory driven) |
요인의 수 | 요인의 수는 분석 전까지 알 수 없음 | 요인(구성개념)들이 분석 전에 이미 지정되어 있음 |
요인의 항목 | 어떤 요인에 어떤 항목이 묶이는지 분석 전까지 알 수 없음 | 구성개념(잠재변수)에 대한 측정항목(관측변수)들이 분석 전에 이미 정해져 있음 |
3. 확인적 요인 분석 모델과 구조방정식 모델 비교
1) 확인적 요인 분석은 모든 잠재 변수간 관계가 공분산(상관)으로 설정되어 있는 반면 구조방정식모델은 잠재변수 간 관계가 공분산 및 인과관계로 설정되어 있음
2) 확인적 요인분석에는 내생변수가 없기 때문에 구조오차가 존재하지 않지만 구조방정식 모델에는 내생변수에 구조오차가 존재함
출처: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chap.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