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주요 개념과 단계
1. 연구의 구성요소
(1) 현상, 개념, 구성개념
① 개념(concept): 인간의 행위와 특성의 어느 특정 측면, 질적연구에서는 현상(phenonmenon)이라고 함
ex) 통증, 삶의 질, 회복력
② 구성개념(construct): 연구자들에 의해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만들어진 관념
ex) Orem의 건강유지모델에서 자가간호(self-care)
(2) 이론과 개념적 모델
①이론(theory): 실재의 일부 측면에 대한 체계적이고 추상적인 설명, 개념들을 서로 묶어 일관성 있는 체계로 구성하는 것
② 양적연구자들은 이론, 구조/틀(framwork), 개념적 모델(conceptual model)로 부터 연구를 시작, 이론이 참이라면 현상이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나타날지를 예측
③ 질적연구에서는 이론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 개념적인 틀 또는 감지적 기틀( sensitizing framwork)이 연구를 위한 자극제 또는 정향세계관을 제공. 기틀이 질문의 방향을 정하고 수집된 정보를 해석하는데 기여함. 어떤 질적 연구에서는 이론이 연구의 결과물임.
(3) 변수
① 변동하는 무언가
ex) 체중, 불안, 혈압
② 양적연구에서 개념은 대개 변수, 어떤 속성이 연구 중인 집단에서 극도로 변동이 심한경우 이질적(heterogeneous), 변동의 범위/정도가 제한적인경우 동질적(hemogeneous)이라고 함
③연속형 변수, 이산형 변수, 범주형 변수
- 연속변수: 연속선상에서 값을 가지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두점 사이의 무한한 수의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
ex) 체중 1kg과 2kg 사이에 존재하는 변수를 생각해 볼때 1.05kg, 1.8kg, 1.333kg등 그 수는 무한
- 이산형 변수: 두 점 사이에 유한한 개수의 값을 가짐
ex) 자녀의 수
- 범주형 변수: 양을 대변하지 않는 좁은 범위의 값
ex) 혈액형, 성별( 여성과 남성 2개의 값을 가지는 이분형 변수)
(4)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①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추정하는 원인
②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추정된 효과
ex) 흡연(독립변수)이 폐암(종속변수)을 일으키는가?
환자의 통증( 종속변수)이 각기 다른 간호행위(독립변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③ 대부분의 종속변수들은 다수의 원인 또는 선행요인을 가짐
④ 변수들이 처음부터 독립변수 또는 종속변수로 정해진것이 아님
(5)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출처: 간호연구(nursing research generating for nursing practice) 3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