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기반실무와 간호연구
1. 간호연구를 위한 패러다임
(1) 실증주의 패러다임
① 실증주의는 19세기의 사조에 기원하며 Mill, Newton, Locke와 같은 철학자들의 사상을 따름
② 실증주의 학자들의 근본가정은 탐구되고 알 수 있는 실재가 그곳에 있다는 것임
③ 실증주의 패러다임 내에서 많은 연구활동들은 현상의 근원적 원인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함
④ 양적연구와 관련
(2) 구성주의 패러다임
① 종종 자연주의 패러다임으로도 불리며 실증주의에 대한 대응적 움직임으로 Weber나 Kant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시작됨.
② 포스트모던 사조는 낡은 생각과 구조를 분해하는 해체(deconstruction)의 가치, 생각과 구조를 새로운 방법으로 결합하는 재구성(reconstruction)의 가치를 강조함.
③ 구성주의 패러다임은 엄격한 간호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 대안적 패러다임임.
④ 질적연구와 관련
(3) 간호연구의 목적
1)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① 기초연구
- 특정 학문의 지식기반을 넓히거나 또는 이론을 만들거나 정련화하기 위해 수행됨
- 인간의 행동과 신체생리적인 일반 원리를 발견하기 위해 적합
ex) 실험실 연구
② 응용연구
- 현존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근거기반실무를 위해 보다 즉각적인 유용성을 가짐
- 간호실무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설계됨
ex) 인공호흡장치와 관련된 폐렴 발생 가능성을 감소하기 위한 병동-특이적 중재의 효과를 평가
2) 다양한 수준의 설명을 얻기 위한 연구
① 규명과 서술
- 질적연구자들은 때때로 거의 알려지지 않은 현상에 대해 연구를 수행함
- 양적연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연구에 앞서 현상규명이 선행됨.
ex) 규명을 목적으로 하는 질적연구: 유방암 치료를 받은 여성들의 경험을 연구
- 서술은 연구의 중요한 목적임
- 간호연구자들이 기술해 온 현상들에는 환자의 스트레스, 통증, 혼동, 대처 등이 포함됨
- 양적 연구에서는 현상들의 발생률, 크기, 측정가능한 속성 등에 중점을 두고 질적연구에서는 현상의 차원, 의미, 중요성을 서술
ex) 서술을 목적으로 하는 양적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토킹 유병률과 스토킹에 대한 각기다른 대응 전략의 사용 빈도를 서술함
ex) 서술을 목적으로 하는 질적연구: 유방암을 가진 여성들이 진단과 수술 사이의 기간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해 심층연구를 수행함.
② 탐색
③ 설명
④ 예측과 통제
출처: 간호연구(nursing research generating for nursing practice) 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