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설계시 주의할 점: 내적&외적 타당도
안녕하세요 공남녀 스텔라 입니다^ 오늘은 연구 설계시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인 내적, 외적 타당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당도(Validity)란 연구결과로 추론된 결과를 지지할 만한 증거가 충분하여 그 결과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연구통제란 연구 목적에 맞는 정확하고 명확한 연구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통제하는것, 독립변수의 효과를 제외한 외생변수의 효과를 통제하거나 독립변수의 효과와 분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 내적타당도(Internal validity): 연구결과가 최종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하였는가 하는 정도
▶ 외적타당도(external validity): 연구결과를 다른 환경, 다른 시간, 다른 연구집단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정도
연구의 타당도
▶연구결과가 외생변수가 아니라 독립변수에 의한 것인지=내적타당도
▶연구결과를 다른 상황에 일반화 할 수 있는지= 외적 타당도
연구설계 단계에서의 통제: 대상자 선정하는 표집 방법이 중요함
확률표집방법: 무작위화를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표본의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음
연구의 내적 타당도
▶ 내적타당도의 개념
연구의 결과가 최종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였느냐를 평가하는 것
종속변수의 변화가 다른 요인이 아닌 독립변수에 의해 일어난 것임을 확신할 수 있는 정도
연구결과가 얼마나 정확한지를 평가하는 것
▶ 내적타당도의 위협요인
1) 특정사건의 영향: 독립변수 이외의 외부에서 일어난 특정사건, 천배지변이 대상자에게 영향을 주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2) 외생변수의 개입: 제3의 변수 개입
3) 성숙: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가 변화하여 독립변수 혹은 중재의 효과가 아니라 시간이라는 요소가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
4) 시험효과: 사후의 점수가 사전검사를 받은 것 만으로 변화하는 것
5) 측정도구 효과: 연구도중에 종속변수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바꾸거나, 사전-사후에 서로 다른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것
6) 통계적 회귀: 사전 검사에서 종속변수의 값이 극단적인 값에 있던 대상자들이 독립변수의 개입과 관계없이 사후검사에서는 평균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7) 선택 편중: 연구 시작전 두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개인 특성에 차이가 있다면 중재의 효과인지 원래 가지고 있던 개인 특성에 의한 것인지 구별하기 어려워 내적 타당도를 보증 할 수 없게 됨
8) 대상자 탈락: 연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와 탈락한 사람들과 차이가 있어 내적 타당도를 위협받게 되는 것
9) 처치의 확산: 실험군에게 주어진 처지가 대조군에게 영향을 주어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분명하지 않게 되거나 서로 다른 처치를 하는 경우 한 군의 처지가 다른 군에게 오염되어 발생하는 것
연구의 구성 타당도
▶ 구성타당도( construct validity): 연구도구와 연관되어 설명되고, 연구도구의 구성타당도는 연구도구가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
▶ 구성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1) 중요한 개념에 대한 정의를 분명히 할것, 연구에서 중재, 결과, 연구롼경, 연구대상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해야함
2) 개념과 가장 일치하는 사례와 결합
연구의 외적 타당도
외적타당도 개념: 표본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얼마나 일반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임
연구결과를 다른 환경, 다른 시간, 다른 인구집단에 확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함
외적타당도의 중요한 요소: 표본선택, 연구환경의 대표성
▶ 외적타당도 위협요인
1) 선택 편중과 실험처치간 상호작용: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실험군에 치료나 중재에 더 호의적인 사람들을 배정하고 처치나 이행이 높아 사후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해 치료나 중재의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
2) 사전검사와 실험처치간 상호작용: 실험군에서 사전검사 경험과 처치가 상호작용하여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경우
3) 실험에 대한 반응:
- 호손효과(Hawthorne effect),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인지하면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여 연구결과를 변화시키는 것
- 존헨리 효과(John Henry effect), 대조군이 처치군보다 더 좋아지기 위해 평소와 다르게 반응하는 것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와의 관계
외적타당도는 내적타당도가 부족하다면 의미가 없고 내적타당도가 높다고 해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내적타당도는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고 외적타당도는 연구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