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이론

간호이론의 개요

보노보노박사 2023. 11. 18. 14:27
반응형

이론이란? 현상에 대한 가설적이고 목적적이며 체계적인 관점을 창조적이고 엄격하게 규명한것. 행동을 설명하거나 행동에 가이드가 될 수 있는 설명적인 가정, 원리 또는 명제의 집합


간호학에서 이론의 중요성

간호실무의 특정한 표준들을 규명할 수 있음
간호실무가 필요한 환경들을 규명하고, 간호 케어를 받는 사람들의 특성이 무엇인지 규명할 수 있음
환자 사정, 환자 문제에 대한 분류 표시(라벨), 간호계획 전략,중재의 유형 분류, 중재의 성과에 대한 평가기준을 포함한 간호 고유의 간호과정 및 간호에 사용되는 기술을 규명함
간호 서비스의 전달 방향을 제시함
입원 데이터베이스, 간호지시서, 케어 플랜, 경과 기록지, 퇴원요약을 포함한 임상정보 시스템의 토대를 제공함
환자 분류시스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함
질 관리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함

 

▣ 간호이론의 분류

▪ 메타이론, 철학, 세계관: 그 학문 분야의 철학적 기반을 기술하는 것
- 지식과 이론을 생성해가는 과정과 같은 폭넓은 이슈를 다룸
- 간호학에 필요한 이론의 목적이나 이론의 종류를 밝히는것
- 간호이론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분석하는 것
- 이론을 평가하는 틀을 제안하는 것


▪ 거대이론(grand theory): 이론의 범위 중 가장 복잡하고 넒은 범위의 이론을 말함
ex) 오렘, 로이, 로저스의 이론


▪ 중범위 이론(middle range theory): 실질적으로 구체적이고, 제한된 숫자의 개념들과 실제 세계의 제한된 측면만을 포함
- 특정 현상에 대한 기술
- 현상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
- 하나의 현상 또는 여러 현상의 결과 예측
-> 중범위 이론은 어떤 특정한 간호현상이나 특정한 대상자 집단과 관련된 테스트 가능한 가설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을 제공

 

실무이론(practice theory): 상황 특이적 이론, 처방적 이론 또는 미시이론이라고도 함. 가장 복잡성정도가 낮은 이론
ex) 산후 우울 이론, 신생아 애착, 암환자 통증관리

 

 

이론의 종류 또는 목적(Dickoff&James, 1968)
  요인 - 고립형이론(기술적 이론)
  요인 – 관계형이론(설명적 이론)
  상황 – 관계형이론(예측적 이론 또는 증진/억제 이론)
  상황 – 생성형 이론(처방적 이론)

기술적(요인-고립형)이론
- 목적: 현상들에 대해 관찰한 것과 그 의미를 제공하는 것
개념들, 요소들, 측면들을 기술하고, 관찰하고 명명함
어떤 현상의 주요 개념들을 규정하고 묘사하지만 개념들이 어떻게, 왜 연결되어 있는지는 설명하지 않음
기술적 이론은 기술적 연구 기법에 의해 생성되고 테스트됨
ex) 개념분석, 사례연구, 문헌소찰, 현상학, 민속지, 근거이론

 

설명적(요인-관계형)이론
개념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개념들 또는 명제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며 여러 개념들 사이의 관련성을 구체화함
상관관계연구, 총체적 문헌고찰 및 합성을 통해 만들어짐


▶ 예측적(상황-관계형)이론
개념 사이의 명확한 관계를 예측하고자 함
실험연구를 통해 예측적 이론이 만들어지고 테스트됨


▶ 처방적(상황-생성형)이론
규정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위를 처방하는 이론
간호 세라퓨틱스(therapeutics: 중재, 요법, 치료)와 중재의 결과를 다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