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방정식 모델의 개요
1.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pdeling, SEM): 변수들간의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기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와 경로분석(Path analysis)이 결합된 형태
2. 구조방정식 모델 프로그램: Amos, Lisel, EQS
3. 구조방정식모델 변수
1) 잠재변수(latent variable or unobserved variable): 구조방정식 모델에서만 사용되는 변수, 직접관찰되거나 측정되지 않고 관측변수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됨. 구조방정식에서는 원이나 타원 형태, 연구모델에서는 구성개념(construct)
2) 관측변수(observed variable): 직접적으로 측정되는 변수로서 잠재변수에 연결되어 잠재변수를 측정함. 구조방정식에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설문지의 측정항목처럼 조사자의 조사나 실험, 관찰 등을 통해 직접 얻게 되는 수치
3)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독립변수의 개념, 다른변수에 영향을 주는변수
4)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종속변수의 개념, 최소한 한번 이상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수.
5) 외생잠재변수(exogenous latent variable), 내생잠재변수(endogenous latent variable), 외생관측변수, 내생관측변수
외생변수 | 내생변수 | |
잠재변수 | 외생잠재변수: 다른 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 화살표 밖으로 향함, 잠재외생변수라고해도 무방 | 내생잠재변수 |
관측변수 | 외생관측변수 | 내생관측변수 |
6) 오차변수(error variable)
(1) 측정오차(measuuement error)
① 조사자가 데이터 수치를 잘못 입력했을때: 조사자가 결측치로 전환하지 않고 그대로 분석한 경우, 3을 33으로 두번 입력한채 분석한 경우
② 응답자가 주어진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 응답자가 조사내용을 잘 알지 못하고 임의대로 설문에 응답했을 경우
③ 어떤 이유로 응답자가 제대로 된 대답을 할 수 없을 경우: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질문을 하면 응답자는 제대로 된 응답을 하지 않을 확률이 높아짐
(2) 구조오차(structral error): 내생변수가 다른 변수들에 의해서 설명이 되고 난 나머지 부분, 즉 설명이 안된 부분을 의미
ex) 일기예보에 투입되는 요인들-외생변수, 일기예보 적중률-내생변수, 예측을 빗나가는 부분-구조오차
* 외생변수와 내생변수간 인과관계를 알아보는 경우: 구조오차를 줄이기 위해 많은 외생변수를 사용할 필요 없음
변수 | 기호 | 설명 |
잠재변수 | ![]() |
구성개념에 해당하며 관측변수에 의해서 측정됨 |
관측변수 | ![]() |
실제로 얻어지는 데이터로서 잠재변수에 연결되어 잠재변수를 측정함 |
외생변수 | ![]() |
독립변수의 개념에 해당하며, 다른 변수에 영향을 줌 |
내생변수 | ![]() |
종속변수의 개념에 해당하며 다른 변수로부터 영향을 받음 |
측정오차 | ![]() |
잠재변수가 관측변수를 설명하고 난 나머지,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 |
구조오차 | ![]() |
내생잠배변수가 다른 잠재변수에 의해서 설명이 되고 난 나머지, 설명이 안된 부분 |
출처: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chapter. 1